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내부 명칭

오토크루즈 2021. 3. 16. 19:08

헤드라이너(Headliner)

오버헤드콘솔(Overhead console)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머리 위 천장에 있는 작은 수납공간입니다.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 야간에 차 내부가 어두울 때 실내를 밝히는 조명장치(맵램프)가 있습니다.

 

썬바이저(Sunvisor)

운전석과 조수석 상단에 있습니다. 운전 시 차량 내부로 들어오는 햇빛을 가려주어 눈부심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커버를 열면 거울이 달려 있습니다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타이어의 진행방향을 조종하는 운전대(조향장치)를 말합니다. 중앙에는 경음기(Horn)가 위치합니다. 경음기와 이어지는 좌·우측 부분에는 채널 조작버튼, 통화버튼, 음량조절버튼, 크루즈 컨트롤 버튼, 계기판 전환 버튼 등 편의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손으로 직접 잡는 둥근 부분은 림(Rim)이라고 부릅니다.

 

 

페달(Pedal)

풋레스트(Foot Rest)는 운전자의 왼쪽 발을 올려놓는 공간입니다. 왼쪽 발을 올려두고 몸을 지탱시키면 커브길 코너링 시 모안정적인 자세와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페달(Brake pedal)로 바퀴를 제동합니다. 액셀(Accelerator)로 가속시킵니다. 클러치 페달(Clutch pedal)로 엔진의 동력을 전달 혹은 차단합니다.

 

 

대시보드(Dashboard)

스티어링 휠을 제외한 자동차 실내 전면부 전체를 대시보드라고 합니다. 실내와 엔진룸을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계기판(Cluster)

속도계, 연료계, 냉각수 수온계, 엔진회전계, 주행거리 등 자동차 운행에 필요한 정보가 나타나는 공간입니다. 아날로그또는 LCD 형태로 표시됩니다. 또한, 각종 자동차 경고등, 정보등이 표시됩니다.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 연료 부족 경고등, 전조등 상향표시등과 같은 경고등이 표시됩니다.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대시보드의 중앙,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위치한 조작 창지를 말합니다.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네비게이션, 오디오, 미디어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공조장치(공기 조화 장치)를 통해 온도조절, 풍향조절, 습기제거, 실내 공기순환, 외부 공기 유입 등 공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비상점멸등이 위치합니다.

 

글로브박스(Glove box)

조수석 무릎 앞쪽에 있는 넓은 수납공간을 말합니다. 초기 자동차는 쇠막대를 돌려서 시동을 거는 방식이라 손이 더러워져 장갑이 필요했습니다. 이때 장갑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공간이라는 것에서 유래하여 글로브 박스라고 부릅니다. 자동차 설명서, 물티슈 등 다양한 물건을 넣어둡니다.

 

 

변속장치(Transmission)

변속레버(Shift Lever)와 주정차 시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가 있습니다.

 

 

콘솔박스(Console box)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기어레버 뒤쪽에 위치한 수납공간을 말합니다. 주로 잔돈을 보관하며 팔걸이 역할도 합니다.

 

 

도어트림(Door trim)

차문 안쪽 내장재 부분을 지칭합니다. 손잡이인 도어핸들(Door handle), 팔을 거치할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 창문개폐버튼이 있습니다. 도어트림 하단의 작은 수납공간은 도어 포켓(Door pocket)이라고 부릅니다.